1. 오늘의 아티클(주제)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792/
데이터 시각화 101: ②직관적인 데이터 시각화 만들기 | 요즘IT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전달하면 우리의 뇌는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고, 데이터 테이블에 비해 트렌드나 패턴, 아웃라이어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데이터를
yozm.wishket.com
2. 아티클 정보 요약
1)시각정보 처리 과정
:뚜렷한 시각 요소 파악 -> 패턴 발견 및 인식 -> 능동적 의미부여와 해석
=> 첫 두 단계에서 추출되는 시각 적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디자인해서 해석 단계에 도움을 주는 직관적인 데이터 시각화를 할 수 있다.
2)전주의적 속성(preattentitve Attributes)
: 별다른 주의 없이 보자마자 알아차릴 수 있는 시각 요소로, 직관적인 데이터 시각화는 이를 잘 활용한 것 =>전주의적 속성을 이해하면 중요한 정보를 곧바로 눈에 띄도록 디자인 할 수 있다!!
3)게슈탈트 원리(Gestalt Principles) :
사람의 뇌는 특정 사물을 구성 요소로 분해하는 것보다 큰 전체를 이해하는데 탁월하며, 특정 규칙이 있을 때 요소들을 연관된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1)근접성(proximity)의 원리 : 지난 60년 간 미 하원 의원들의 양극화된 투표 성향 나타낸 시각 디자인
(2)유사성(similarity)의 원리 : 같은 계열의 붉은 색상으로 채색된, 동일 코로나19 변이(오미크론) 확산 지도
(3)공동운명(common fate)의 원리 : 상류층에서 태어난 흑인 소년과 백인 소년의 계층/소득 유지성/이동성
(4)균일한 연결(uniform connectedness)의 원리 : 인물 관계도 등
3. 인사이트
-직관적으로 느끼기에 멋진 (시각) 디자인은 모두 전주의적 속성을 잘 활용한 것이라는 것을 데이터 분석 공부를 하면서 늘 인식하고 있을 것!
-'멋지다', '너무 잘 만들었다'라고 단순하게만 생각했던 시각 디자인 하나하나에도 게슈탈트 원리가 적용되고 활용됨
'사전캠프 데일리미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분석 아티클 06 - 데이터기반 의사결정의 장점 (2) | 2023.12.07 |
---|---|
데이터분석 아티클 05 - 데이터 시각화 101: ③데이터 속 거짓말 발견하기 (0) | 2023.12.07 |
데이터분석 아티클 03 : 데이터 시각화 101: ①데이터 시각화는 왜 중요할까 (2) | 2023.12.06 |
12/05 데이터 분석 아티클 분석 (1) | 2023.12.06 |
데이터분석 용어 정리(계속 업데이트) (0)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