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통합

03/22 TIL

네디0318 2024. 3. 22. 21:51

오늘 한 일

  • SQL 코드카타 5문제
  •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 관련 자료 서칭
  • 이력서 초안 작성해보기

 

 

머리가 반쯤은 꽃밭에 있었는데 생각해보니 다음주 화요일부터가 최종프로젝트 주간이라

부랴부랴 이력서와 포트폴리오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기 시작.

 

대학원 이후 자소서든 이력서든 쓰는게 처음이기도 하고, 또 취업용 이력서는 처음이라 영 어색한뎈ㅋㅋ

나 그래도 나름 열심히 살았던 것 같긴 하다.

아래는 오늘 하루종일 매달려서 써본 초안. 이거 토대로 잘 써져서 취업 성공할 수 있길!

 

주말에 포트폴리오 정리도 해봐야겠다.

 

 


 

사회과학적이고 인문학적인 시각으로 데이터를 들여다보는 데이터 분석가 신승현입니다.

대학 학부에서 사회학과 정치학을, 그리고 대학원에서 동아시아 사회와 문화, 역사를 전공한 것을 기반으로, 어느 데이터를 보더라도 어떤 사회적 맥락에서 생겨나고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늘 고민하려 합니다.

 

스파르타 코딩클럽 내일배움캠프 데이터 분석가 과정에서 여러 차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러한 안목이 데이터 분석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치안에 대한 우려로 2030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비싼 비용을 지불하려 한다는 사회학적 지식에 착안해서 부동산 전월세 가격 데이터 분석에 청년 여성 인구 데이터 등을 활용해서 머신러닝 모델의 예측도를 높이기도 했고, 결혼중매회사 및 데이팅 어플 등에서의 남녀 성비에 관한 역사적/사회학적을 사실을 기반으로, 인구 데이터를 이용한 고효율 데이팅 어플 지하철역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보기도 했습니다. 전자의 경우 다른 인구 데이터들과 결합해 정확도가 0.9에 육박하게 나왔고, 후자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광고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회 통념이기에 튜터님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로부터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구조를 파악하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틈틈이 국내 뉴스 및 신문, 외신 기사를 챙겨 보면서 사회의 미시적/거시적인 흐름을 놓치지 않으려 늘 노력합니다. 기사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사실과 데이터를 살펴볼 때마다 전공 지식을 토대로 이들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구분해서 파악하고 분석하려 합니다.

 

한편,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깨닫게 된 저의 재능은 스토리텔링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입니다. 논문을 쓰고 학회에서 발표했던 경험을 토대로 매번 프로젝트 진행 때마다 전체적인 흐름과 발표 내용을 늘 도맡아서 기획하고 구성했습니다.

 

한편, 시민단체 웹진 기자 및 대학 학생회 경험, 군대 어학병(통역병) 및 외교부 행사 등에서 통역이나 안내 요원을 맡았던 경험을 토대로 프로젝트 진행 시 조장이나 조장을 보조하는 역할로서 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는 데 일조했다고 자부합니다. 단적인 예로, 부트캠프 내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원들 간의 갈등이 폭발하거나 프로젝트 결과물이 안 좋게 나오는 경험을 한 번씩은 경험했지만, 저는 조내에서 크고 작은 갈등을 조율하며 모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고 매번 비교적 높은 완성도로 튜터님들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아냈습니다.

 

데이터분석가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해석하는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즉 하드 스킬과 소프트 스킬 모두 중요한 직업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가진 사회과학적, 인문학적 인사이트와 의사소통 능력을 통해 귀사의 발전에 기여하고 동료들과 함께 성장해 나가고 싶습니다.